구글 블로그 인수 공지 글
일단은 일장일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장점으로는 이 좁고 매력없는 한국 IT 시장에 구글이 처음으로 국내 웹2.0 서비스 시장에 투자를 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리라는 기대감이죠. 특히나 이런 소프트웨어 서비스 쪽에서 말입니다.
역시 단점이라면, 구글이 무슨 의도로 투자를 했는지 알 수 없는 점이랄까요. 이미 네이버 블로그, 이글루스, 다음-티스토리가 잡고 있는 시장 상황에서 아직 정식 서비스도 펼치지 않은 텍스트큐브, 설치형 블로그인 태터툴즈 만으로는 미래를 예측하기가 힘든 상황이니 말이죠.
또한, 그동안 다음-티스토리와 독립된 각을 세우면서 사용자를 이끌 수 있었던 점이 바로 "자유" 라는 점을 최대로 강조하고 회사만 돈을 버는게 아닌 블로거들과 함께 돈을 버는 서비스가 되자고 주장했는데 이번 인수 결정은 그 모토를 뒤집는 결과가 아닐까 해서 우려됩니다.
(물론, 정확한 공식 입장이나 운영방안이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 확실치는 못하죠)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그래도 요즘 다음-티스토리에 마음이 안드는 부분이 서서히 많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유일한 대안으로 텍스트큐브를 생각하고 있었는데.. 조금 아쉬울 따름입니다. 이러면 저도 티스토리와 텍스트큐브를 구분할 이유가 없어지죠.
모쪼록 저의 불안과 아쉬움이 기우이길 바랄 뿐입니다.
일단은 일장일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장점으로는 이 좁고 매력없는 한국 IT 시장에 구글이 처음으로 국내 웹2.0 서비스 시장에 투자를 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리라는 기대감이죠. 특히나 이런 소프트웨어 서비스 쪽에서 말입니다.
역시 단점이라면, 구글이 무슨 의도로 투자를 했는지 알 수 없는 점이랄까요. 이미 네이버 블로그, 이글루스, 다음-티스토리가 잡고 있는 시장 상황에서 아직 정식 서비스도 펼치지 않은 텍스트큐브, 설치형 블로그인 태터툴즈 만으로는 미래를 예측하기가 힘든 상황이니 말이죠.
또한, 그동안 다음-티스토리와 독립된 각을 세우면서 사용자를 이끌 수 있었던 점이 바로 "자유" 라는 점을 최대로 강조하고 회사만 돈을 버는게 아닌 블로거들과 함께 돈을 버는 서비스가 되자고 주장했는데 이번 인수 결정은 그 모토를 뒤집는 결과가 아닐까 해서 우려됩니다.
(물론, 정확한 공식 입장이나 운영방안이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 확실치는 못하죠)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그래도 요즘 다음-티스토리에 마음이 안드는 부분이 서서히 많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유일한 대안으로 텍스트큐브를 생각하고 있었는데.. 조금 아쉬울 따름입니다. 이러면 저도 티스토리와 텍스트큐브를 구분할 이유가 없어지죠.
모쪼록 저의 불안과 아쉬움이 기우이길 바랄 뿐입니다.